선조들의 삶 담긴 음식 문화는…조선의 ‘요리 비법’을 찾아서
선조들의 삶 담긴 음식 문화는…조선의 ‘요리 비법’을 찾아서
  • 연합뉴스
  • 승인 2024.02.21 13: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임금의 복통과 설사가 심하여 약방에서 입진(入診·궁중에 들어가 왕을 진찰함)하고 황금탕을 지어 올렸다.” (경종실록 1724년 8월 22일 기사)

1724년 조선의 제20대 임금인 경종(재위 1720∼1724)은 여러 날 동안 아팠다.

병환이 낫지 않아 수라를 드는 것도 힘들어했고, 여러 의원이 번갈아가며 진찰하기도 했다. 복통으로 시달리던 경종이 끝내 숨을 거두게 된 원인으로 지목된 건 생감과 게장이었다.

조선 후기부터 전해지는 한글 요리서 ‘음식방문이라’는 과실을 먹을 때 주의해야 할 점으로 “감과 배와 게를 함께 먹지 말라”는 내용이 실려 있기도 하다.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에 널리 쓰인 ‘요리책’에는 어떤 내용이 있을까.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최근 펴낸 ‘조선 요리 비법: 장서각 소장 주식방문·음식방문이라·언문후생록 역주’는 한글 요리서 고전 3종의 가치에 주목한 책이다.

음식을 문화·인문학·역사학의 관점에서 연구해 온 ‘음식인문학자’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를 중심으로 각 분야 학자 10명이 참여해 장서각 소장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했다.

‘주식방문’과 ‘음식방문이라’, ‘언문후생록’은 모두 붓으로 필사한 자료다.

주 교수는 책 앞부분에 쓴 해제에서 이들 한글 요리서 3종의 특징과 구성, 다른 기관이 소장한 자료와 차이점 등을 분석한다. 요리법 항목이 몇 가지인지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장서각이 소장한 ‘주식방문’에 음식 이름이나 요리법 재료 등이 적힌 항목은 총 114가지이며, 이 중에는 병과(餠菓·떡과 과자)류가 35가지로 가장 많다.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보관 중인 ‘음식방문이라’ 내용을 살펴보면 요리법과 음식을 먹을 때 조심해야 할 일 등 110가지, 의료와 가옥 관련 내용 12가지가 담겨 있다.

‘언문후생록’은 조선 후기 음식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여겨진다.

요리법은 상세하지 않지만, 음식 이름과 재료 명칭을 한자와 한글로 함께 써놓아 조선 후기 음식 이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게 주 교수의 설명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측은 “19세기 이후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글 요리서는 조선시대와 대한제국의 음식문화가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갔는지를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음식 문화에 담긴 선조들의 재치와 민간 신앙도 눈여겨볼 만하다.

밤을 구울 때 타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 ‘그중 하나를 남이 모르게 손에 쥐어 감추라’라거나 ‘밤마다 눈썹 위에 세 번씩 문질러 구워라’는 부분은 웃음을 자아낸다.

책은 원문 이미지와 판독 내용을 함께 볼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한글로 필사한 각 단어의 뜻, 비슷한 어휘 등을 주석으로 달았고, ‘현대어역’ 부분에서는 요리서의 각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설명해준다.

주영하 교수는 “조선시대 요리책을 연구할 때 필요한 것은 ‘책의 문화사’라는 시선”이라며 “역주서가 국어학, 음식학, 생활사 연구에 이바지하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