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처 안하면 다음 세대에 짐된다
기후위기 대처 안하면 다음 세대에 짐된다
  • 김재춘 기자
  • 승인 2023.04.02 15: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30년까지 부문별·연도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오늘은 파키스탄이지만 내일은 당신의 나라가 될 수도 있다”

 지난해 8월 국가의 3분의 1이 잠기는 대홍수로 약 3천300만명의 이재민과 1천300명이 사망하고 약 100억 달러에 달하는 피해를 입은 파키스탄 현지에서 안토니오 구테흐스 UN사무총장이 지구촌 기후위기에 대한 경고를 했다.

 그 이전에도 구테흐스 UN사무총장은 기후위기에 대응 안하면 인류는 “집단자살”로 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기후위기는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며 우리나라도 지난해 8월 서울 수도권이 80년만의 폭우로 강남이 침수되어 8명이 사망했으며, 현재도 봄가뭄으로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고, 작물들이 매말라고 있다.

지속되는 지구 온난화로 지구의 평균기온이 산업혁명 이후 1.5도 상승을 육박하고 유엔기후협약의 저지 목표 온도인 2도를 위협하고 있다.

 1988년에 설립된 IPCC(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 2001년 제3차보고서에서 지구는 지난 18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산업혁명 이후 100년간 지구의 평균온도는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인간의 영향이 66% 이상 차지한다고 주장했다.

 온실기체 의해 벌어지는 지구 온난화를 줄이기 위해 결국 2015년 파리기후협약(COP21)에서 전세계의 공동책임과 개도국 지원기금 마련과 산업화 이후 기온을 2도 상승 억제를 목표로 2021년부터 발효해 매년 평가보고서 제출을 결의했다.

 이를 위해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0년 수준에서 약 45% 감소해 2050년경에는 순제로(탄소중립)에 도달해야 한다.

 우리나라도 문재인 정부도 2021년 11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2018년 대비 40% 감축 목표를 발표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지난달 21일 문재인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유지하되 산업부문 14.5%를 11.4%로 부담을 줄이고 여기서 줄어든 감축분은 원전 및 재생에너지 활용과 국제감축을 통해 충당하기로 했으며 수소와 이산화탄소 포집및 저장을 활용한 부문에거 감축부담을 나눠 가지는 걸로 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정부의 발표를 산업계의 부담을 줄여주고 원전산업을 강화하려는 윤석열 정부의 기조가 반영된 것이고, 감축목표 비율도 2030년 436.6백만톤 배출 달성을 위해 윤석열 정부는 탄소감축을 2018년 기준 686.3백만톤에서 임기 5년동안 2027년 585백만톤으로 101.3백만톤을 줄이고 나머지는 차기 정부에서 3년동안 148.4백만톤을 줄이라는 부담을 안겨줬다고 분석했다.

탄소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선 산업계 공장과 전력 부분의 감축 목표 달성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이의 부담을 줄여주니 목표 달성이 힘든 것이다. 이 목표달성 계획은 다른 선진국들은 초기에 대부분 80~90%를 달성하는 목표를 가지고 노력하는데 비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현재를 위해 후대 정부에 큰 부담을 안겨주겠다는 것이다.

RE100을 선언한 기업들의 경영과 우리 경제를 위해서도 또 탄소중립을 위한 우리 후대의 부담을 줄여주고, 다른나라에 비해 많은 탄소 배출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라도 탄소중립을 위한 국가와 사회, 우리 개인들의 동참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다.

구테흐스 UN 사무총장의 무시무시한 말이 지금 우리나라에도 비수로 꽂히고 있다. 지난달 23일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마련한 박정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의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의 특강에서 주장했다.

 “지금이라도 탄소중립을 위해 실천하지 않으면 오늘의 파키스탄이 내일의 우리나라가 될 수 있다.”

 

 김재춘 미디어영상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