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가구 실질적 정착 지원책 절실
귀농귀촌가구 실질적 정착 지원책 절실
  • 장정철 기자
  • 승인 2017.08.18 17: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경기불황으로 인한 조기퇴직, 명예퇴직 등이 증가하고 자영업 불황이 이어지면서 고단한 도시생활을 접고 귀농귀촌을 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귀농귀촌가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전북지역을 찾는 귀농귀촌가구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들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이고 주변과 하루빨리 정착할수 있도록 제도마련이 시급하다.

20일 통계청의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전북 귀농귀촌 가구는 1만8천여가구에 달한다. 귀농가구는 1천164가구, 귀촌가구는 1만6천183가구 등이다.

그러나 행정차원의 귀농인들의 조기정착을 돕기위한 각종 현장실습 교육, 영농자재 구입, 정착비용 지원 등의 실질적인 지원책이 없어 이들이 성공적인 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있는 곳도 있지만 매우 미비해 실질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귀농귀촌인구는 매년 감소하는 도내 농산어촌 지역의 인구지키기에도 도움이 되는만큼 지금부터라도 유관기관들이 적극 나서 이들을 끌어안아 제2의 고향을 만들어줘야 한다.

실제로 30대 이하 귀농인은 배우자, 자녀와 함께 오는 경우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농촌인구 증가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계청 발표 등에 따르면 50대 이상 동반가구원수는 평균 0.5명에도 못 미치는데 반해 30대 이하는 평균 2.9명으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이처럼 2030 귀농귀촌인은 고령화된 농촌사회의 활력소일 뿐더러 180만 인구에 겨우 턱걸이하고 있는 전북도에 큰 밑거름이 되는 셈이다.

이를 위해서는 농협차원에서 일부 시행하고 있는 지원책을 행정차원에서 적극 병행하는 것도 좋은 방안중 하나다.

현재 농협에서는 귀농인 대상 정책자금 등 금융지원, 영농자재 공급, 유류판매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는데 정해진 자격을 갖추고 가까운 농축협에서 출자금을 납입한 후 조합원으로 가입하면 출자배당, 실적배당, 영농지도, 각종 문화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초보 귀농인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선도농가 현장실습 교육 전면확대와 마을 이장 등을 통한 멘토멘티 결연사업 시행으로 안정적인 귀농정착과 역귀농을 방지해야 한다.

장정철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