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를 대표하는 스마트 농생명 클러스터 구축
아시아를 대표하는 스마트 농생명 클러스터 구축
  • 박기홍 기자
  • 승인 2017.05.19 2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정부 출범과 전북의 과제 <10>

 농생명 산업은 농업과 식품, 종자, 바이오소재, 농생명자재 등 가치사슬의 모든 연관산업이 해당된다. 중국 등 동북아 소비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고 건강과 안전, 편의, 기능성을 중시하는 소비 패러다임의 전환을 감안할 때 시장 전망이 매우 밝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이렇게 말했다. “전북은 대한민국 농생명 산업의 보물과 같은 땅이다. 전북의 자산인 농생명 산업에 투자할 수 있는 금융산업을 육성하겠다. 아시아를 대표하는 스마트 농생명 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

 대통령이 직접 미래 유망산업의 최적지로 전북을 언급하며 전폭적인 지원 의지를 밝힌 셈이다. 대선이 끝난 지금, 전북의 농생명 허브 추진을 위한 정부와 도 차원의 구체적인 밑그림 작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전북의 스마트 농생명 클러스터는 기존의 특화된 농생명 분야만 잘 연계해도 하나의 훌륭한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정부가 내년도 예산부터 대거 지원하는 의지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북이 농생명 허브를 지향하는 것은 연구개발(R&D) 기관이 혁신도시에 몰려 있고, 익산 국가 식품클러스터와 김제의 농기계 클러스터, 민간육종단지, 새만금 농생명 용지 등이 비행기의 양 날개처럼 뻗어 있는 까닭이다. 혁신도시엔 농촌진흥청과 산하기관인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등 4개의 과학원이 있다. 한국농수산대학은 미래 부농의 꿈을 현실화하려는 젊은이들의 열기로 후끈하고 있다.

 여기다, 수출형 첨단 농생명산업 밸리 조성을 위한 아그로플레인 프로젝트(Agro-Plane Preject)도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 농도(農道)의 이름을 걸고 농생명 산업 육성에 올인해온 전북도의 미래 프로젝트인데, 9조3천억원을 투자하면 생산유발 효과만 20조5천억원, 고용유발 효과는 9만2천명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됐다.

 농생명 관련 기관을 끌어오는 일도 이제 시작해야 한다. 김동영 전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3월 중순 전북도의회에서 열린 한 토론회에서 농업금융 거점 조성 차원에서 ‘농업정책보험금융원(농금원)’을 전북 혁신도시로 이전해 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있는 농금원은 농업 재해보험 사업의 지도·감독을 통해 농어업 경영안정을 도모하는 기관이다. 그는 또 “전북에 농생명증권거래원을 건립해 혁신도시 클러스터 용지 2곳에 집적화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농생명 수도 허브 구상은 문 대통령의 전북공약 1호나 다름없을 정도로 비중을 둔 사업”이라며 “내년도 국가 예산부터 적극 안배하고, 경쟁력을 높여갈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김민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