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으로 현장의 목소리 들어야
적극적으로 현장의 목소리 들어야
  • 김영호 기자
  • 승인 2016.12.06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주시 한옥마을 민간위탁 의미와 과제(하)

 전주 한옥마을 내 문화시설 민간위탁 기간이 만료되면서 재계약을 앞두고 들썩이는 상황은 비단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민간위탁 시설 내에 있는 사람들, 즉 종사자들이나 그 곳을 이용하는 시민, 관광객들을 위한 정책 방향이 보이지 않는다는데 있다.

 전주시는 매번 새로운 수탁자를 찾으면서, 기존 수탁자들에 대한 의견 수렴을 한다거나 바람직한 방향은 제시하지 않은 채 민간에 떠맡기듯 일방 통행해왔다는 비판이다.

 사실상 사람 귀한 줄 모르는 정책이 지속되다 보니, 지난 13여 년의 세월 동안 이 곳 시설을 떠난 문화 인력들이 한 두 명이 아닌 상황이다. 이 때문에 지역 내 문화예술인들의 시선도 그리 곱지 않다.

 그렇다면, 매번 반복되는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민간위탁 문화시설들의 경우 사업계획서 상에 재정 운영 계획에서 자부담을 늘려야만 수탁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게 만든 현 상황을 바로잡아야한다는 지적이다.

 오랜 기간 민간위탁 문화시설들의 보조금을 크게 줄이면서 각 시설들이 수익 사업에만 매달리게 만든 것.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역 문화예술인들은 시에서 문화사업이 아닌 임대사업을 하는 것 아니냐는 불만도 표출하고 있다.

 수익 사업에만 매달리도록 하게 만든 시의 잘못된 행정을 꼬집는 것이다.

 이는 곧 공공성과 수익성 사이에 논란이 불거지게 되고, 한옥마을 문화시설의 운영 부담은 전적으로 시민과 관광객 등 이용자에게로 전가시키게 된다.

 더군다나 2000년대 초반 4곳에 불과했던 한옥마을 내 문화시설들이 현재까지 15곳으로 늘어나다 보니, 답보 상태에 놓인 보조금 수준과 불안정한 인력 수급 및 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내년부터 시의 직영으로 전환된 공예품전시관이나 전주문화재단이 운영을 맡게 된 전통문화관을 바라보는 우려의 시각도 크다.

 공예품전시관은 불과 3년 전만 하더라도 보조금 지원 시설에서 유료 수익시설로 변경해 민간위탁 공모를 거쳤는데, 시에서 이번엔 직영 운영이라는 카드를 꺼내들었다.

 공예품전시관 관계자는 “우리가 민간위탁을 맡고 나서 흑자를 낸 곳인데, 시에서 직영으로 뺏어 가다시피 하는 것은 누가 보더라도 상식적으로 맞지 않는다”며, “이는 오히려 지역 경제에도 마이너스가 될 뿐더러 품격있는 전주시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전통문화관의 경우엔 매번 수탁 심의를 거칠 때마다 보조금이 크게 줄어 체험 등을 통해 수입을 늘려오면서 인건비를 충당해왔었다.

 시설의 종사자들은 주말과 야간 시간까지 반납하면서 열심히 일을 해왔지만, 정작 종사자들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 이렇게 뛰었는지 모르겠다고 탄식까지 토해내는 상황이다.

 이 곳의 문화시설 관계자는 “최소한 몇 달 전에라도 알았으면 준비를 할 시간이 있을텐데, 한 달 전에 갑작스러운 통보를 받으니 당황스럽다”고 입장을 밝혔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시에서는 일방적인 행정 절차만 밟아서는 안되며, 시설 종사자들의 처우나 고용승계 등과 관련해 마땅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도 도처에 깔려 있다.

 지난 2011년 한옥마을사업소가 만들어 지면서 현장 소통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문화시설과 종사자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컨트롤타워 역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민간 전문가를 영입해서라도 한옥마을의 전체적인 밑그림을 다시 그리는 방안까지 고민해야 할 것이란 주장도 나온다.

 지역문화예술인들은 “더이상 한옥마을에는 문화공간 다운 문화공간이 없다”면서, “민간위탁 시설의 수탁 과정에서 나타난 일련의 행태들은, 전주시 한옥마을사업소가 적극적으로 여론을 수렴해 뚜렷한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한 목소리로 질타하고 있다.

김영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